01 / produced by SEESAW
NAM JUNE PAIK: MOON IS THE OLDEST TV
by Amanda Najung Kim
Documentary I USA, South Korea I 107' I 2023
“The George Washington of Video Art” ... “Cultural Terrorist” ... “Citizen Zero of the Electronic Superhighway” ... But who really was Nam June Paik, pillar of the American avant-garde in the 20th century and arguably the most famous
Korean artist in modern history?
2023 Sundance Film Festival | US Competition
2023 MoMA Doc Fortnight | Opening Film
2023 CPH:DOX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
아만다 나정 김 감독
다큐멘터리 I 미국, 한국 I 107' I 2023
"비디오 아트계의 조지 워싱턴"..."문화 테러리스트"..."전자 초고속도로 위의 예술가"...하지만 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의 기둥이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작가이자, 현대사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 작가인 백남준은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까? 당대가 미처 해석하지 못했던 선구자는 아니었을까?
2023 Sundance Film Festival | US 경쟁 부문
2023 MoMA Doc Fortnight | 개막작
2023 CPH:DOX
DELIVERY DANCER'S SPHERE
by Ayoung Kim
Fiction I South Korea I 25' I 2023
Ernst Mo works for courier service Delivery Dancer. Every day, she transports an endless stream of parcels, following algorithmically generated routes through a labyrinthine Seoul. After she runs into an alternative version of herself, her reality slowly starts to crack – with all the attendant consequences.
2023 IFFRotterdam | Tiger Short Competition
2023 CPH:DOX
2022 Hyundai Gallery
딜리버리 댄서의 구
김아영 감독
픽션 I 한국 I 24' I 2023
가상의 서울을 배경으로 질주하는 여성 배달 라이더에른스트 모는 배달 플랫폼 딜리버리 댄서 DeliveryDancer소속 라이더이다. 딜리버리 댄서의 AI 알고리즘 시스템이자 배달 라이더들의 동선과 충성도 등을 기록, 관리 및 감독하는 댄스마스터의 네비게이션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거리를 연산해 수놓은 직선들을 라이더에게 알려준다. 무한 수신되는 배달 콜과 촉수처럼 무한 생성되는 배달 경로는 정신착란증을 부르는 미로와도 같다. 어느 날부터, 에른스트 모는 자신의 세계와 완벽하게 동일한 다른 가능 세계에 다다른다. 그곳에서 자기 자신과 완벽하게 닮은, 마치 도플갱어나 유령과 같은 존재인 엔 스톰을 만나고, 동일한 시공간에서는 공존 불가능한 사태와 관계의 다면들을 마주하며 혼란을 겪는다. 두 존재가 조우할 때마다 시공간은 무거워지고, 시간은 느리게 흐른다. 고스트 댄서였던 에른스트 모는 이 사태를 벗어나려 상담을 받고 엔 스톰을 애써 피하려 노력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운명처럼 엔 스톰과 조우를 반복한다. 이후 라이더에겐 치명적인 페널티 누적을 받게 되는데...
2023 IFFRotterdam | 타이거 단편 경쟁
2023 CPH:DOX
2022 현대갤러리
THE FIN
by Syeyoung Park
Fiction I South Korea I 102' I 2023
A dying mermaid asks a friend to give his remains to his daughter, hiding amongst the humans. Tasked with this dangerous journey, mermaid #437 heads secretly to the land of humans. Little does he know he is being followed by a civil service official fueled by hatred and curiousity.
지느러미
박세영 감독
픽션 I 한국 I 102' I 2023
동료가 죽으며 인간 사이 숨어 사는 딸에게 유골을 전해달라고 부탁하자, 인어 한 명이 비밀리에 해안가를 떠나 내륙으로 향한다. 한 편 인어족을 감시하던 공무원 막내는 그를 의심하며 미행하기 시작한다.
DRAGON WOMEN
by Frédérique de Montblanc
Documentary I Belgium, Korea, Switzerland I 90' & 52' I 2022
Often called ‘Dragons’, women in the finance sector still represent a small minority, especially in the higher spheres of power. This documentary, shot in Europe and Asia, presents a series of intimate portraits of various senior women in the finance sector, revealing both the personas they’ve had to build for work and the parts of themselves they consciously leave at home. Filmed at work and during moments of leisure, these strong and complex women tell us how they survive in one of the most competitive and masculine professions in the world.
2022 Docville | National Competition
2022 Visions du Reel | National Competition
2022 DOK.fest Munich | Brave New Work
2022 Warsa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드래곤 우먼
프레드릭 드 몽블랑 감독
다큐멘터리 I 벨기에, 한국, 스위스 I 90' & 52' I 2022
'드래곤'이라 불리는 금융업계 고위직 여성들. 그들은 여전히 소수 중 소수이다. 유럽과 아시아에서 촬영한 다큐멘터리 <드래곤 우먼>은 금융업계에서 일하는 다섯 명의 야심찬 여성들을 그린다. 그들의 직장에서, 집에서, 여가 시간 중 모습을 통해 가장 치열한 업계 중 하나에서 살아남기 위한 그들만의 생존전략을 밝힌다.
2022 Docville | 국내 경쟁 부문
2022 Visions du Reel | 국내 경쟁 부문
2022 DOK.fest Munich | Brave New Work
2022 바르샤바 국제영화제
QUEER MY FRIENDS
by Ahhyun Seo
Documentary I Korea I 82' I 2022
2022 Hot Docs
2022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2022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022 Jakarta Independent Film Festival
2022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퀴어 마이 프렌즈
서아현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82' I 2022
<퀴어 마이 프렌즈>는 한국 사회에서 이성애자 여성이자 기독교인으로 살아가고 있는 아현이 절친한 친구이자, 동성애자 남성인 강원과 쌓아 나가는 우정의 여정을 담아낸다. 서로 다른 성정체성과 삶의 배경을 가진 이들이 크고 작은 다름과 갈등을 극복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응원하는 과정을 통해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공존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에 대한 해답을 찾아 나선다.
2022 Hot Docs
2022 서울국제여성영화제
2022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2022 자카르타 독립영화제
2022 서울독립영화제
AYENA(Mirror)
by Siddhant Sarin, Debankon S. Solanky
Documentary I India, Lithuania, Korea I 72' I 2021
A momentary act of revenge transformed the lives of two young Indian women forever. After surviving an acid attack, while carrying scars of human brutality on their face, both Ritu and Faraha learn to redefine their lives through a sea of odd currents daily.
Strangely enough, Ritu’s scars also brought her some fame, she occasionally finds herself talking on television, modeling at fashion events, or featuring in a Bollywood film… still, she often feels lonely. She wants to be loved and embraces an ambiguous relationship with a fellow female acid attack survivor. On the other hand, Faraha has come to terms with her post-attack singlehood and her new lease of life. As she begins to enjoy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a desire to become a mother slowly brews within her.
By intertwining the shadows and lights, and hope and hopelessness in Ritu and Faraha’s life, Ayena becomes a mirror where we can also see our own reflections.
2022 Oslo Independent Film Festival - Best Documentary
2022 DOK.fest Munich
2022 Vilni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2 Hungary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022 Jio Mami Mumbai Film Festival
2022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아예나
시드한트 사린, 데반콘 S. 솔란키 감독
다큐멘터리 I 인도, 리투아니아, 한국 I 72' I 2021
몇 년 전, 얼굴에 염산 테러를 당한 리투 Ritu와 파라하 Faraha. 흉터를 얼굴에 지닌 채 살아가야 하는 리투와 파라하는 매일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자신들의 삶을 재정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리투는 TV 쇼나, 발리우드 영화에 출연하거나 패션쇼에 서는 등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의 상처로 인해 유명세를 얻게 되지만 여전히 외로움을 느끼며, 사랑 받고 싶어한다. 다른 생존자들과의 관계에서 위로를 받기도 하는 리투와 달리, 파라하는 염산 테러 이후 독신을 선언하고 삶의 전환점을 맞는다. 자유와 독신의 삶을 즐기기 시작한 파라하는 동시에 엄마가 되고 싶은 마음을 발견한다.
리투와 파라하의 삶의 빛과 그림자, 희망과 절망을 엮어낸 <아예나>는 우리를 비추는 거울과도 같은 작품이다. 그녀들의 흉터 너머 회복, 우정, 존엄을 비춘다.
2023 오슬로국제영화제 -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2022 DOK.fest 뮌헨
2022 빌니우스 국제영화제
2022 헝가리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2022 지오마미 뭄바이영화제
2022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LITTLE NOMADS
by Minji Ma
Documentary I France, Korea, Mongolia I 72' & 52' & 43' I 2020
LITTLE NOMADS tells the initiatory journey of three nomadic sisters Batma,17, Urgee, 14 and Dolma, 10. As Batma enters University, the three girls will move on their own from the Mongol steppe to Ulan Bator, the modern and very polluted capital city of Mongolia. From green meadow to grey concrete jungle – how the three girls change? The family who stay in the steppe including their mother, grandmother and great-grandmother will show the changes that Mongolia and many other developing countries are experiencing. Their adventures will echo the universal subject of expatriation from the rural world to the urban one, through the extreme example of Mongolia.
2020 broadcast on ARTE France
2018 DOK Leipzig Co-pro Market
리틀 노마드
마민지 감독
다큐멘터리 I 프랑스, 한국, 몽골 I 72' & 52' & 43' I 2020
몽골 수도에서 차로 8시간, 옛 삶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불간 지역. 게르에 누워 페이스북을 하는 세 자매. 바트마와 우르기, 돌마는 이곳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얼마 전, 큰언니 바트마가 지역 출신 중 20명 만이 합격할 수 있는 의학 대학교에 합격했기 때문이다. 바트마는 의사가 되어 의료 시설이 부족한 유목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어머니, 할머니, 증조할머니까지 4대에 걸친 대가족이 모여 사는 마을을 떠나야 한다. 난생 처음 대도시의 삶을 경험하게 될 바트마는 두 여동생과 함께 모험을 감행하기로 한다.
2020 프랑스 ARTE 채널 방영
2018 DOK Leipzig Co-pro Market
AT THE SURISOL UNDERWATER LAB
by Ayoung Kim
Fiction I South Korea I 17' I 2021
*The work is commissioned by Busan Biennale, for exhibition setting. Preferred to be exhibited, rather than screened.
In the wake of climate change and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brought on by fossil fuels, eco-friendly bio-fuels have become society’s main energy source. In the Korean city of Busan, a “biomass town” has been established along the East Sea coastline. Surisol Underwater Lab, which manages an integrated process involving seaweed farming, water quality, ocean currents, and biomass, is also located in the area of the Oryukdo Islands. Sohila, a senior researcher at the lab, has just returned to the lab after taking a month-long vacation. She hears bad news from Surisol and out to conduct reconnaissance in the waters in question.
The character Sohila was played by Sohila AlBna'a, a Yemeni migrant living in Korea.
2020 Busan Biennale
수리솔 수중 연구소에서
김아영 작가
픽션 I 한국 I 17' I 2021
2020년 부산비엔날레를 위해 제작된 본 프로젝트는 팬데믹 이후 가까운 미래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사변 서사(speculative fiction)이다.
화석연료가 초래한 기후변화와 자원 고갈의 가속화 후 친환경 바이오 연료가 주 에너지원이 된 사회, 해조류 연료가 세계의 주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있다. 한국 부산에도 기장에서부터 오륙도 근해에 이르는 긴 해안을 따라 바이오매스 타운이 형성되었고, 다시마 양식과 수질, 해류, 바이오매스 공정을 통합 관리하는 연구소인 수리솔 수중 연구소(Surisol Underwater Lab)가 오륙도 부근 해저에 자리 잡고 있다. 한 달의 휴가 후 연구소에 돌아온 소하일라는 AI 수리솔로부터 바이오 연료인 다시마 경작에 방해가 되는 유해조류 독소 포자를 발견했다는 보고를 받고 즉시 정찰을 나간다. 정찰 도중 대형 오징어 떼와 난류를 만나 위험에 빠진 소하일라는 이윽고 무중력과도 같은 기억 속으로 침잠하고, 2020년 전 세계를 휩쓴 COVID-19로 인한 판데믹 시기에 한국에, 그리고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회상하게 된다.
예멘인 이주 여성 소하일라 알브나가 소하일라 역을 연기했다.
2020 부산비엔날레
POROSITY VALLEY 2: TRICKSTERS' PLOT
by Ayoung Kim
Fiction I South Korea I 23' I 2019
Petra Genetrix, a fictitious entity composed of the mineral or data cluster awakens to find itself dropped on the shoreline of an island known as “Crypto Valley.” Petra once again experiences a migration review, facing authorities who regard migrants as equivalent to aliens or viruses.
Failing its review, Petra gets confined to the “Smart Grid” that serves as an alien detention center, but after encountering a visual/auditory hallucination there,
it escapes, following a beckoning voice to the island’s center. There, within the caverns, it encounters the Mother Rock, a data center or ancient cloud and transcendent presence that has existed in this place
for eons….
2023 CPH:DOX
2020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Forum Expanded
2020 Jeonju IFF | Korean Competition for Shorts
2020 Seoul Intnl. Women’s Film Festival | Asian Shorts Competition
2020 Bucharest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2019 Korea Artist Prize @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
김아영 작가
픽션 I 한국 I 23' I 2019
자기 자신의 복제와 결합한 후 시공을 뛰어넘는 차원으로 이동하게 된 광물 덩어리이자 데이터 조각, 신적 존재인 페트라 제네트릭스. 크립토밸리의 해안가에 불쑥 내던져져 눈을 뜬다. 이곳에도, 저곳에도 속하지 않은 경계의 땅, 즉, ‘섬’이다. 페트라는 다시 한 번 이주의 심사를 경험하며, 이주자를 외계인 또는 바이러스로 간주하는 이주당국의 처사 앞에 놓인다. 심사 실패 후 스마트그리드에 구금된 페트라는,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보호소를 탈출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을 부르는 소리를 따라 섬 내부로 이동하자, 동굴 속에서 영겁의 세월을 지내 온 데이터센터이자 ‘어머니 바위’라는 초월적 존재를 만나게 되는데…
2023 CPH:DOX
2020 베를린국제영화제 | 포럼 익스펜디드
2020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단편경쟁
2020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아시아단편경쟁
2020 부카레스트 국제실험영화제
2019 올해의 작가상 | 국립현대미술관
PEARL OF THE DESERT
by Pushpendra Singh
Documentary I India, South Korea I 82' & 52' I 2019
Moti Kahn, a musically gifted child from the lower caste of Muslim Manganiyars of the Thar desert, is forced to sing and play music for their hereditary patrons, to survive. But Moti finds singing for their patrons humiliating as they are still treated lowly. Sattar, his father, wants Moti to study and make a successful career outside music but Moti aspires to be a successful singer so that he is treated respectfully in the village. So Moti leaves his village behind and sets out on the journey for the remote city.
2021 Arte France
2020 CPH:DOX | Sound & Vision
2020 Krakow Film Festival | Best Music Documentary Award
2020 DMZ Docs | International Competition
2020 Olymp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 Best Documentary Award
2019 IDFA | Feature-Length Competition
2019 Mumbai Film Festival | India Gold Competition
사막의 진주
푸쉬펜드라 싱 감독
다큐멘터리 I 인도, 한국 I 82' & 52' I 2019
인도의 타르 사막, 이슬람교도 망간니어스의 하위 계급인 모티 칸은 음악적 재능을 띤 소년이지만 생업을 위해 세습적으로 이어져온 후원자들을 위해 노래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모티는 여전히 본인이 하대받기 때문에 그 일을 창피하다고 여긴다. 그의 아버지 사타르는 모티가 음악 이외의 곳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길 바라지만 모티는 위대한 가수가 되어 그 마을에서 정중한 대우를 받길 열망한다. 결국 모티는 그의 고향을 뒤로하고 먼 도시로 여정을 떠난다.
2021 프랑스 Arte 채널 방영
2020 CPH:DOX | 사운드&비전
2020 크라쿠프영화제 | 최우수뮤직다큐멘터리상
2020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국제경쟁
2020 올림피아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 최우수다큐멘터리상
2019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장편경쟁
2019 뭄바이영화제 | 국내경쟁
FOR VAGINA'S SAKE
by Boram Kim
Documentary I South Korea I 84' I 2017
Women eat, sleep, and bleed. This bleeding has been symbolized as mystery, impurity, and inferiority, but this long-lasting taboo around menstruation started to cracking up. Women all over the world voiced up and NPR crowned 2015 as the Year of Period. This big wave has arrived in Korea. The wall of information collapses, and women demand their right to choose how to bleed. For Vagina's Sake follows the history of bleeding and social issues happening in modern societies. With colorful animation and fast-paced editing style, it is nicknamed as "Period Wikipedia."
2019 International Female Film Festival Malmö
2018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 New Perspective Award
2018 London Korean Film Festival
2018 Festival du Film Coréen à Paris
2017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피의 연대기
김보람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84' I 2017
여성들은 먹고, 자고, 피를 흘립니다. 이 '피흘림'은 오랜 시간동안 불순물, 열등함을 상징했지만, 이제 그 편견과 금기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전세계 여성들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파도의 물결이 한국에 도착했다. 이제 여성들은 '피 흘리는 방법'을 선택할 권리를 외치기 시작했다. <피의 연대기>는 생리의 역사와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를 폭넓게 다룬다.
2019 말뫼국제여성영화제
2018 서울독립영화제 | 새로운시선상
2018 런던한국영화제
2018 파리한국영화제
2017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옥랑문화상
FAMILY IN THE BUBBLE
by Minji Ma
Documentary I South Korea I 78' I 2017
The Ma family lives in Gangnam District, a wealthy borough in Seoul, yet they can't afford the rent and barely keep their bills in check. Once thriving in the real estate business during South Korea's 1980s economic boom, they refuse to accept the reality that they can no longer maintain their upper-middle-class lifestyle. In her feature documentary debut, Minji Ma turns the camera on her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dysfunctional family as they hope that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will somehow reverse itself before it's too late.
2018 Toronto Reel Asi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Honourable Mention
2018 DocPoint Helsinki Documentary Film
2018 Architecture Film Festival Rotterdam
2018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 New Currents
2017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 Grand Prix
2017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orean Competition
버블 패밀리
마민지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78' I 2017
1980년대, 소규모 건설업, 소위 '집장사'를 하던 나의 부모님은 도시 개발의 붐을 타고 ‘중산층’ 대열에 합류했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이후 모든 것이 거품처럼 사라졌다. 한 방 터뜨려 재기하겠다는 부모님은 15년 째 월세 집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책 없는 부모님이 미웠던 나는 독립한 지 오래다. 어느 날 집주인은 부모님의 월세 집을 원룸으로 재건축할 예정이라 통보한다. 노심초사하는 나와 달리 부모님은 기약 없어 보이는 부동산 투자에만 관심을 보인다. 카메라를 든 나는 우리 가족 깊숙이 박혀있는 부동산에 대한 열망 뒤에서 과거의 상처와 개발 시대의 탐욕을 마주하게 된다.
2018 토론토릴아시안영화제 | 특별언급
2018 닥포인트헬싱키다큐멘터리영화제
2018 로테르담건축영화제
2018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새로운 물결
2018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한국다큐쇼케이스
2017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페스티발 초이스 대상
2017 전주국제영화제 | 국내장편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