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 Represented by SEESAW
GOOD LIGHT, GOOD AIR
by Im Heung-soon
Documentary I South Korea | 110' | 2020
The histories of Argentina and Gwangju, South Korea, two plac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lobe, are mirror images of the other: both are stories of brutality and massacres, inflicted upon human beings by other human beings during the military rule in the 1970s and 80s. How are we to face and mourn war, violence, massacre, life and death, especially at a time of global pandemic when humanity is again trapped in a cycle of panic? The people of Gwangju — literally meaning “a city of good light” — and Buenos Aires — literally “good air” — may be able to give us some answers.
2021 Ji.hlav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 Opus Bonum
2020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좋은 빛, 좋은 공기
임흥순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110' I 2020
한 번도 아버지의 모습을 보지 못한 아나(ANA)는 꿈에서 아버지와 만난다. 그러나 사진으로만 뵈었던 아버지는 꿈속에서 조차 움직이지 않는다. 아르헨티나 독재 정권하에서 납치된 3만 명의 실종자 가운데 한 명인 아나의 아버지. 그녀는 아버지의 미소를 볼 수 있을까? 꿈에서 그리고 현실에서. 오늘도 어김없이 옛 전남도청 농성장으로 향하는 이근례씨. 그녀의 아들은 항쟁 마지막 날 도청에서 사라졌다. 주검이 되어서 돌아온 아들의 얼굴을 그녀는 알아보지 못했다. 20년이 지나서야 아들의 존재를 알아본 그녀에게 옛 전남도청은 아들의 영혼이 숨 쉬는 장소이다. 광주 그리고 부에노스 아이레스. 학살의 고통을 간직한 도시는 아직도 꿈을 꾸고 있다. 학살의 기억은 생존자들의 목소리로, 고고학자들의 손을 빌어 다시 복원되고 두 도시는 꿈에서 깨어난다.
2021 이흘라바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Opus Bonum
2020 부산국제영화제
HUG
by Im Heung-soon
Documentary I South Korea | 75' | 2021
Bad dreams have become reality, and we dream of waking up. Our lives nonetheless continue through this nightmare with no end in sight - the pandemic. We continue to fight against injustice, celebrate love, have fun, and mourn loss. These snippets of different lives from all around the world show how we persist through this dream we wish to wake up from.
This film is based on the film footage and voice chorus of film industry workers in 9 countries around the world.
2021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포옹
임흥순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75' I 2021
나쁜 꿈은 현실이 되었고 우리는 깨어나는 것을 꿈꾼다. 그러나 팬데믹이라는 이 끝이 보이지 않는 악몽 속에서도 삶은 계속된다. 우리는 여전히 정의를 위해 투쟁하고 사랑을 축복하며 즐거움을 찾고 상실을 애도한다. 세계 각지에서 온 이 삶의 단편들은 이 깨어나고 싶은 꿈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앞으로 나아가는지 보여준다.
이 영화는 전 세계 9개국 영화예술 종사자의 영상 푸티지와 보이스 코러스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2021 전주국제영화제
ABOUT LOVE
by Archana Phadke
Documentary I India | 95’ & 52' | 2019
Three generations of the Phadke family live together in their ancestral home in downtown Mumbai. With her brother's wedding coming up, and her own misgivings towards marriage, the filmmaker turns the camera inwards towards her family. Rooted in the ebbs and flows of 'unspectacular time', the personal becomes political as power structures within the family first become visible, and eventually, unravel. Cruel and comic in equal measure, the film vignettes the vagaries of affection across generations within this family- tied together by something stranger than love.
2020 broadcast on POV
2019 Sheffield Doc/Fest | New Talents Award
2019 Hain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Best Documentary Feature
2019 Mumba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9 DMZ Docs | Asian Perspective Award
2019 DOC NYC
어바웃 러브
아르차나 파드케 감독
다큐멘터리 I 인도 I 95' & 52' I 2019
100년이 넘은 건물에서 3대가 모여 사는 파드케 집안 사람들의 이야기. 오빠의 결혼식을 앞두고 결혼제도와 사랑에 회의적인 감독이 직접 3대에 걸친 가족들의 삶을 카메라에 담는다. 인도 가부장제 하에서 살아온 여성들의 삶과 결혼의 의미, 그리고 이면에 가려진 여성들의 갈망과 결핍의 기록.
2020 POV 채널 방영
2019 쉐필드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뉴탈렌츠상
2019 하이난국제영화제 장편다큐멘터리 작품상
2019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아시아시선상
2019 뭄바이국제영화제
AT THE SURISOL UNDERWATER LAB
by Ayoung Kim
Fiction I South Korea I 17' I 2020
*The work is commissioned by Busan Biennale, for exhibition setting. Preferred to be exhibited, rather than screened.
In the wake of climate change and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brought on by fossil fuels, eco-friendly bio-fuels have become society’s main energy source. In the Korean city of Busan, a “biomass town” has been established along the East Sea coastline. Surisol Underwater Lab, which manages an integrated process involving seaweed farming, water quality, ocean currents, and biomass, is also located in the area of the Oryukdo Islands. Sohila, a senior researcher at the lab, has just returned to the lab after taking a month-long vacation. She hears bad news from Surisol and goes out to conduct reconnaissance in the waters in question.
The character Sohila was played by Sohila AlBna'a, a Yemeni migrant living in Korea.
2021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0 Busan Biennale
수리솔 수중 연구소에서
김아영 작가
픽션 I 한국 I 17' I 2021
2020년 부산비엔날레를 위해 제작된 본 프로젝트는 팬데믹 이후 가까운 미래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사변 서사(speculative fiction)이다.
화석연료가 초래한 기후변화와 자원 고갈의 가속화 후 친환경 바이오 연료가 주 에너지원이 된 사회, 해조류 연료가 세계의 주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있다. 한국 부산에도 기장에서부터 오륙도 근해에 이르는 긴 해안을 따라 바이오매스 타운이 형성되었고, 다시마 양식과 수질, 해류, 바이오매스 공정을 통합 관리하는 연구소인 수리솔 수중 연구소(Surisol Underwater Lab)가 오륙도 부근 해저에 자리 잡고 있다. 한 달의 휴가 후 연구소에 돌아온 소하일라는 AI 수리솔로부터 바이오 연료인 다시마 경작에 방해가 되는 유해조류 독소 포자를 발견했다는 보고를 받고 즉시 정찰을 나간다. 정찰 도중 대형 오징어 떼와 난류를 만나 위험에 빠진 소하일라는 이윽고 무중력과도 같은 기억 속으로 침잠하고, 2020년 전 세계를 휩쓴 COVID-19로 인한 판데믹 시기에 한국에, 그리고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회상하게 된다.
예멘인 이주 여성 소하일라 알브나가 소하일라 역을 연기했다.
2021 전주국제영화제
2020 부산비엔날레
POROSITY VALLEY 2: TRICKSTERS' PLOT
by Ayoung Kim
Fiction I South Korea I 23' I 2019
Petra Genetrix, a fictitious entity composed of the mineral or data cluster awakens to find itself dropped on the shoreline of an island known as “Crypto Valley.” Petra once again experiences a migration review, facing authorities who regard migrants as equivalent to aliens or viruses.
Failing its review, Petra gets confined to the “Smart Grid” that serves as an alien detention center, but after encountering a visual/auditory hallucination there,
it escapes, following a beckoning voice to the island’s center. There, within the caverns, it encounters the Mother Rock, a data center or ancient cloud and transcendent presence that has existed in this place
for eons….
2020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Forum Expanded
2020 Sharjah Film Platform
2020 San Diego Asian Film Festival
2020 Jeonju IFF | Korean Competition for Shorts
2020 Chunchoen SF FF | Grand Prize
2020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2020 Pyeongchang International Peace Film Festival
2019 Korea Artist Prize @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
김아영 작가
픽션 I 한국 I 23' I 2019
자기 자신의 복제와 결합한 후 시공을 뛰어넘는 차원으로 이동하게 된 광물 덩어리이자 데이터 조각, 신적 존재인 페트라 제네트릭스. 크립토밸리의 해안가에 불쑥 내던져져 눈을 뜬다. 이곳에도, 저곳에도 속하지 않은 경계의 땅, 즉, ‘섬’이다. 페트라는 다시 한 번 이주의 심사를 경험하며, 이주자를 외계인 또는 바이러스로 간주하는 이주당국의 처사 앞에 놓인다. 심사 실패 후 스마트그리드에 구금된 페트라는,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보호소를 탈출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을 부르는 소리를 따라 섬 내부로 이동하자, 동굴 속에서 영겁의 세월을 지내 온 데이터센터이자 ‘어머니 바위’라는 초월적 존재를 만나게 되는데…
2020 베를린국제영화제 | 포럼 익스펜디드
2020 샤르자필름플랫폼
2020 샌디에고아시안영화제
2020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단편경쟁
2020 춘천SF영화제 | 대상(봄내상)
2020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아시아단편경쟁
2020 평창국제평화영화제 | 스펙트럼
2019 올해의 작가상 | 국립현대미술관
A RIFLE AND A BAG
by Cristina Hanes, Isabella Rinaldi, Arya Rothe
Documentary I India, Romania, Italy, Qatar | 89’ & 52' | 2020
Somi is pregnant with her second child. A girl, she hopes. Together with her husband she prepares for this new phase of their parenthood. It means that their son has to go to school, but as an ex-Naxalite that is tough to achieve in contemporary India, where people like them are third-rate citizens. They lack the certificates and an opaque bureaucratic process doesn't help.
2020 IFFR | Special Mention at Bright Future
2020 Visions du Réel | Latitudes section
2020 Torino Film Festival
2020 First Look @ Museum of Moving Image, U.S.
2020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0 Thessaloniki Documentary Festival
2020 One World Romania Film Festival
소총과 가방
크리스티나 하네스, 이사벨 리날디, 아리아 로스 감독
다큐멘터리 I 인도, 루마니아, 이탈리아, 카타르 I 89' & 52' I 2020
둘째아이를 임신한 소미는, 아이가 딸이길 바란다. 첫째 아들을 학교에 보내야 하는 소미와 그녀의 남편은 부모로서 새로운 단계에 접어드는 것을 느끼고 이를 함께 준비한다. 하지만, 낙살라이트 집단에 속했던 이들은 현대 인도사회에서 최하계층이자 지워진 존재나 다름없다. 부패한 관료주의 시스템 앞에서, 신분을 증명할 서류도 없는 그들의 삶은 거칠고 고단할뿐이다.
2020 로테르담국제영화제 브라이트퓨처 경쟁 심사위원특별상
2020 비전뒤릴영화제 초청
2020 토리노국제영화제
2020 퍼스트룩영화제 초청
2020 데살로니키다큐멘터리영화제 초청
2020 원월드 로마니아영화제 초청
FAMILY IN THE BUBBLE
by Minji Ma
Documentary I South Korea I 78' & 52' & 27' I 2017
The Ma family lives in Gangnam District, a wealthy borough in Seoul, yet they can't afford the rent and barely keep their bills in check. Once thriving in the real estate business during South Korea's 1980s economic boom, they refuse to accept the reality that they can no longer maintain their upper-middle-class lifestyle. In her feature documentary debut, Minji Ma turns the camera on her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dysfunctional family as they hope that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will somehow reverse itself before it's too late.
2018 Toronto Reel Asian Intnl. Film Festival | Honourable Mention
2018 DocPoint Helsinki Documentary Film
2018 Architecture Film Festival Rotterdam
2018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 New Currents
2017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 Grand Prix
2017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orean Competition
버블 패밀리
마민지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78' & 52' & 27' I 2017
1980년대, 소규모 건설업, 소위 '집장사'를 하던 나의 부모님은 도시 개발의 붐을 타고 ‘중산층’ 대열에 합류했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이후 모든 것이 거품처럼 사라졌다. 한 방 터뜨려 재기하겠다는 부모님은 15년 째 월세 집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책 없는 부모님이 미웠던 나는 독립한 지 오래다. 어느 날 집주인은 부모님의 월세 집을 원룸으로 재건축할 예정이라 통보한다. 노심초사하는 나와 달리 부모님은 기약 없어 보이는 부동산 투자에만 관심을 보인다. 카메라를 든 나는 우리 가족 깊숙이 박혀있는 부동산에 대한 열망 뒤에서 과거의 상처와 개발 시대의 탐욕을 마주하게 된다.
2018 토론토릴아시안영화제 | 특별언급
2018 닥포인트헬싱키다큐멘터리영화제
2018 로테르담건축영화제
2018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새로운 물결
2018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한국다큐쇼케이스
2017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페스티발 초이스 대상
2017 전주국제영화제 | 국내장편경쟁
WEEKENDS
by Dong-ha Lee
Documentary I South Korea | 98' | 2016
G-Voice is the one and only gay men's choir in South Korea. They are all amateur singers, but their passion paves its way to the 10th anniversary. With the big concert only a few days ahead, they are invited to perform at the very first gay wedding in Korea, where members are assaulted with fecal water by a homophobic group. However, 'give up' is not in G-Voice's dictionary, they keep singing for equality and against all kinds of discrimination. Will G-Voice's 10th anniversary concert succeed? This glossy music documentary sheds light on the gay men's hardhip and joy in Korean society.
2016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Panorama
2016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Wide Angle
Outfest LA | Vancouver Queer FF | HongKong LG FF | Cinema Queer IFF | Queer Screen FF | Reel Pride Gay & Lesbian FF | PRIDE PICTURES e. V. | Queer FF Bremen |
TWIST Seattle Queer FF | QUEER-STREIFEN REGENSBURG | Queerstreifen | QUEERSICHT
위켄즈
이동하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98' I 2016
한국의 유일한 게이 남성 합창단 G-Voice. 그들은 아마추어 가수이지만 열정만으로 10주년을 맞이했다. 빅 콘서트를 며칠 앞두고, 그들은 한국 최초의 동성 결혼 결혼식에 초청된다. 하지만 그곳에서 그들은 호모포비아 단체에 의해 배설물 테러를 당한다. 그러나 G-Voice에는 포기란 없다! 그들은 모든 종류의 차별에 반대하며 노래를 계속한다. G-Voice의 10주년 기념 콘서트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2016 베를린국제영화제 | 파노라마
2016 부산국제영화제 | 와이드앵글
FACTORY COMPLEX
by Im Heung-soon
Documentary I South Korea | 95’ | 2015
A poetic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work through the stories of marginalized female laborers in Asia. The drastic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once surprised the rest of the world. However, behind of it was an oppression the marginalized female laborers had to endure. The film invites us to the lives of the working class women engaged in the textile industry of the 1960s, all the way through the stories of flight attendants, cashiers, and non-regular workers of today. The form of labor seems to change its appearance but the essence of a bread-and-butter question remains still. The film ends up in Cambodia, where we encounter the repetition of the history of labor that took place in Korea.
2015 Venice Biennale | Silver Lion
2015 Shanghai Intnl. Film Festival | Documentary Competition
2015 Montreal World Film Festival | Documentaries of the World
2014 Busan IFF | Wide Angle: Documentary Competition
위로공단
임흥순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95' I 2015
한국의 급격한 경제 발전은 한 때 세계를 놀라게 했지만, 그 찬란한 발전 뒤에는 억압을 견뎌야 했던 여성 노동자들이 있었다. 이 영화는 1960년대 섬유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 계급 여성, 승무원, 출납원 등과 같은 비정규직 여성들의 삶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노동의 형태는 바뀌어가고 있지만, 그 본질적인 문제는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있다. 영화는 한국에서 일어난 노동의 역사가 캄보디아에서 반복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끝이 난다.
2015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전 은사자상
2015 상하이국제영화제 경쟁부문
2015 몬트리올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오브 월드 부문 초청
2014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PLACEBO
by Abhay Kumar
Documentary I India | 96’ | 2014
In one of the toughest undergrad schools in the world, a filmmaker infiltrates a complex mindscape of ambition and restless youth. In the hallways of excellence, something sinister is at work- and those who inhabit them, must fight these monsters within.
2015 Hot Docs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2015 Clevel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5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 Special Jury Prize
2014 IDFA | Jury Nomination for the Best film at First-Appearance Competition
플라시보
압헤이 쿠마르 감독
다큐멘터리 I 인도 I 96' I 2014
경쟁이 치열하기로 이름난 학교 캠퍼스에서 자해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 증언을 계기로 감독은 학생들의 폭력 패턴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다. 4명의 학생이 실험에 참여하는데, 고단한 젊은이들의 복잡한 심리 세계와 감춰진 야심을 통해 새로운 진실이 모습을 드러낸다.
2015 캐나다 핫독스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초청
2015 미국 클리브랜드국제영화제 초청
2015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특별심사위원상
2014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신인경쟁부문 심사위원 최우수상
RYEOHAENG
by Im Heungsoon
Documentary I South Korea I 86' I 2017
A group of women climbs a summer mountain situated in South Korea. They are refugees who have settled into South Korean society after fleeing from North Korea. For them, climbing the mountains has been an unavoidable journey for survival - a matter of life and death.
2018 Florence Korea Film Fest
2017 Buche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2017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려행
임흥순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86' I 2017
한 무리의 여성들이 남한의 산을 기어 오른다. 그들은 탈북하여 한국 사회에 정착한 난민들이다. 그들에게 '산을 오르는 것'은 생존을 위한 피할 수 없는 여정이다. 삶과 죽음의 문제인 것이다.
2018 피렌체한국영화제
2017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 관객상
2017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THE HOSPICE
by Chang-jae Lee
Documentary I South Korea | 99’/54’ | 2014
The film follows the very last days of the termina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the moment of last breathing. This film is set in a hospice located outskirts of Seoul, where terminal patients who cannot find any more hope come to finalize their lives. On average, a patient spends his or her last 21 days in the hospice, trying to make the most out of what remains of life and preparing for a peaceful death. Some succeed in spending quality time with their beloved, but others keep struggling against the reality of their imminent death. The film invites the audiences to the hospice and offers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the patients and how they deal with the end of their lives.
2014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Wide Angle
목숨
이창재 감독
다큐멘터리 I 한국 I 99'/54' I 2014
남은 시간 평균 21일. 삶의 끝에서 잠시 머물며 이별을 준비하는 곳, 호스피스. 누군가의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마지막을 준비한다. 사십 대 가장 박수명, 두 아들의 엄마 김정자, 수학 선생님 박진우 할아버지와 쪽방촌 외톨이 신창열이 이곳에 있다. 이들이 두고 떠나야 하는 것은 사랑하는 가족, 어렵게 장만한 집, 따끈한 짜장면 한 그릇과 시원한 막걸리 한 모금.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죽음 앞에서야 진심으로 사랑하며 마치 처음인 듯 뜨겁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슬픈데 웃음도 나고 겁나는데 따뜻하기도 하고, 가족이 생각나고 하루가 소중해지고 괜히 반성하게 되는 시간. 죽음을 통해 보게 되는 살아있다는 것의 기적. 세상 무엇보다 소중한 ‘목숨’을 만난다.
2014 부산국제영화제 | 와이드 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