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IVERY DANCER'S SPHERE by Ayoung Kim

2022 | A Single Channel Video | 24'


Gallery Hyundai, Korea

Ayoung Kim's solo exhibition, Syntax and Sorcery, tells the story of a female delivery rider named Ernst Mo (an anagram of 'monster'). Ernst Mo lives in Seoul, a fictional city postulated between techno-orientalism and Asian futurism, working as a rider (so-called 'Dancer') for a powerful delivery platform called Delivery Dancer. The god-like Dancemaster, an AI algorithm system that records, manages, and supervises the Dancers' movement and loyalty, contracts, and distorts space and time like it is using Chukjibeop (a magical method of contracting space), enabling Dancers to conduct delivery as fast as light. Dancemaster's navigation system calculate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informing the Dancers of the straight path embroidered in the city. Incessant delivery calls and the tentacles of infinitely generated delivery paths induce a labyrinthine delirium. Following the commands of the app device that transmits the Dancemaster's instruction, the Dancers 'dance' non-stop through areas A, B, C, D, and E of the city as if they were dancing. The identity of what Ernst Mo delivers remains ambiguous. From one day on, Ernst Mo arrives in another possible world, perfectly identical to her own. There, she encounters En Storm (another anagram of 'monster'), a counterpart, a ghostly entity that perfectly resembles herself. Each time they meet, space-time becomes heavier, and time flows slowly. Ernst Mo, a former Ghost Dancer, seeks counseling to make a way out of this situation and to avoid En Storm, but fate keeps bringing them together. Soon, Ernst Mo receives the penalty fatal for her career as a Dancer, and...
김아영의 개인전 《문법과 마법(Syntax and Sorcery)》에는 여성 배달 라이더 에른스트 모(Ernst Mo, Monster의 철자 바꾸기)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에른스트 모는 테크노 오리엔탈리즘과 아시아 퓨처리즘 사이에 놓인 가상의 도시 서울에 살며,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배달 플랫폼인 딜리버리 댄서(Delivery Dancer)의 소속 라이더다. 이곳에서 라이더는 댄서로 지칭된다. 딜리버리 댄서의 AI 알고리즘 시스템이자 배달 라이더들의 동선과 충성도 등을 기록, 관리 및 감독하는 댄스마스터(Dancemaster)의 능력은 신처럼 영검해서, 축지법을 쓰듯 시공간을 축약하고 뒤틀어 댄서들이 빛처럼 빠른 배달을 가능하도록 한다. 댄스마스터의 네비게이션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거리를 연산해 수놓은 직선들을 라이더에게 알려준다. 무한 수신되는 배달 콜과 촉수처럼 무한 생성되는 배달 경로는 정신착란증을 부르는 미로와도 같다. 댄서들은 댄스마스터의 연산을 수신하는 앱 디바이스의 명령에 따라, 도시의 A, B, C, D, E 등의 구역을 춤을 추듯 쉴 새 없이 질주한다. 그가 배달하는 물품의 정체는 의뭉스럽다. 어느 날부터, 에른스트 모는 자신의 세계와 완벽하게 동일한 다른 가능 세계에 다다른다. 그곳에서 자기 자신과 완벽하게 닮은, 마치 도플갱어나 유령과 같은 존재인 엔 스톰(En Storm, Monster의 철자 바꾸기)을 만나고, 동일한 시공간에서는 공존 불가능한 사태와 관계의 다면들을 마주하며 혼란을 겪는다. 두 존재가 조우할 때마다 시공간은 무거워지고, 시간은 느리게 흐른다. 고스트 댄서였던 에른스트 모는 이 사태를 벗어나려 상담을 받고 엔 스톰을 애써 피하려 노력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운명처럼 엔 스톰과 조우를 반복한다. 이후 라이더에겐 치명적인 페널티 누적을 받게 되는데…

IN SEARCH OF PETRAGENETRIX by Ayoung Kim

2020 | A Live Voice-Transforming Lecture Performance | 30'


IMPAKT FESTIVA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Long March Space, Beijing, China (Pilot Version)

Petra Genetrix, the protagonist of the series Porosity Valley, is a migrant, mineral, and data cluster. In this lecture performance, the artist traces the origin of Petra Genetrix who constantly crosses borders, gender boundaries, and the concept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creates her own hyperbolic mythology. While utilizing audio and video excerpts from her existing works, Ayoung Kim uses her own voice to create a verbal narrative exploring those agents who cross boundaries. By doing so, she continues to trace multifaceted crystal faces of Petra Genetrix, who is fundamentally porous and ambiguous.

<다공성 계곡> 시리즈의 주인공 페트라 제네트릭스는 일련의 작업에서, 가상의 광물 덩어리이자 데이터 조각이며, 이주자의 신분이 된 신적 존재로 나타난다. 이 렉쳐 퍼포먼스에서 작가는, 국경, 젠더, 존재와 비존재, 시공간의 경계를 끊임없이 넘나드는 페트라의 기원을 추적해 나감과 동시에 페트라를 위한 가상의 신화를 만들어 나간다. 작가는 이 렉쳐 퍼포먼스에서 영상 및 사운드 조각을 운용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목소리를 여러 차례 변조함으로써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존재를 담지하게 되며, 본질적으로 다공적이고 모호한 개체일 수밖에 없는 페트라 제네트릭스의 픽션을 이어 나간다.

PETROGENESIS, PETRAGENETRIX by Ayoung Kim

2019 | Single Channel Video | 7'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sia Culture Center, Gwangju, Korea


In 2019, Ayoung Kim travelled to Mongolia to research its abundant animistic belief system towards land, mother rock, stones and sacred caves that purify human guilts. It is the widespread belief of the Mongolian people that rocks and minerals are alive, like other natural elements. Consider the particular origin myth that human beings were born from rocks. From where does the belief come from, and why has it prevailed for so long…?


Ayoung Kim traces this topic and creates her own hyperbolic mythology connected to the origin of Petra Genetrix by integrating interviews with a historian, geologist, geology museum director, and the locals. By way of the notion of Petrogenesis – which refers to a genesis from rocks – Ayoung Kim wanders the interrelated and overlapped layers of time, as though lost in the Earth’s strata.


“Quartz can be considered to be a type of natural computer, since it absorbs and stores a large amount of energy.” Can we think of the rocks and stones that have exist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Earth as the Earth’s vehicle for memory storage? 

땅에 대한 심원한 믿음이 지속되어 온 것으로 알려진 몽골로 조사여행을 떠난 작가는, 몽골의 대지 어머니 신앙, 어머니바위 신앙, 돌과 바위가 살아 있다는 믿음, 인류가 공유하는 바위에서 태어난 인간에 대한 신화를 더듬어 간다. 이러한 믿음은 왜 지구 곳곳에서 이토록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것일까?


현재 진행형인 이 프로젝트는 역사학자, 지질학자, 지질학 박물관장, 일반인들과의 인터뷰를 조합하여 페트라 제네트릭스의 기원과 맞닿는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 나간다.


“석영은 일종의 자연산 컴퓨터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많은 에너지를 빨아들이고 저장하기 때문이지요.”
지구의 탄생과 함께 존재해 온 돌과 바위는 어쩌면 지구의 기억을 저장하는 메모리와도 같은 것이었을까? 

CROSSINGS by Ayoung Kim

2019 | Single Channel Video | 3'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Forum Expanded, Germany


Crossings, a short video in a vertical format, traces the escape journey of a young man called Ahmed Askar, a Yemeni martial artist and former national athlete. He was also one of the performers in Porosity Valley 2: Tricksters' Plot.


Askar, tracing his route over a world map on a table, talks about how he travelled from North Yemen to South Yemen after the outbreak of war, then on to Saudi Arabia, Sudan, and Malaysia before eventually coming to South Korea through Jeju Island in summer 2018. Juxtaposed against the foregoing is casual video footage of roads, landscapes, and an airport landing strip, shot by another Yemeni man who escaped Yemen to Germany. The footage was shot on a mobile phone in a low resolution while he was on the road.


Although seemingly mundane and natural, there is a sudden strange feeling while looking at this footage, when the viewer realises that it was taken while fleeing the war.

세로 비율, 3분 분량의 짧은 영상으로, 예멘의 국가대표 격투기 선수였던 아흐메드 아스카의 피난의 도정을 더듬는다. 그는 2019년 ≪다공성 계곡 2: 트릭스터 플롯≫에 출연한 세 사람의 퍼포머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는 책상 위에 펼쳐진 세계지도를 짚어 가며, 어떻게 2018년 예멘전쟁을 피해 북예멘에서 남예멘으로 이동했는지, 어떻게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말레이시아를 거쳐 제주도를 통해 한국에 입항했는지의 여정과 동선을 보여주고 들려준다. 영상은 또한 또다른 예멘인 남성이 예멘을 탈출해 독일에 다다르기까지의 여정을 핸드폰으로 틈틈이 촬영한 푸티지를 담고 있는데, 창밖 도로와 자연의 풍경이라든가 활주로에 착륙한 비행기의 모습과 같은 것들이다.


낮은 화질로 기록된 지극히 일상적이고 느긋해 보이기까지 한 이 영상 조각들이, 실은 피난의 도정이라는 절박한 상황 도중 촬영되었음을 지각하는 순간 떠오르는 감각은 어떤 낯설음일 것이다.

POROSITY VALLEY 2: TRICKSTER'S PLOT by Ayoung Kim

2019 | Two Channel Video | 23'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Forum Expanded, Germany

Sharjah Film Platform


Ayoung Kim’s speculative fiction Porosity Valley 2: Tricksters’ Plot combines migration of. Different layers occurring globally and the pseudo-myths of. Mongolia and associates them with the influx of Yemen refugees seeking shelter on Jeju Island. 


Korea Artist Prize is a prestigious art award and exhibition of Korea co-hos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the SBS Foundation. It aims to support those artists who have explored and attested to the potential of contemporary Korean art. Since 2012 until today, Korea Artist Prize has presented visions by fostering discourses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Ayoung Kim has shown her interest in and explorations of the migrations, transfers, crossings, supranationality, and locality taking place at a global level. Central among her recent pieces is Porosity Valley: Tricksters’ Plot (2019), a follow-up to her 2017 video work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Focusing on Asia as a region and Mongolia in particular, she combines her artistic interests with Mongolian folklore, exemplified by its beliefs concerning rocks and the land. As she juxtaposes stories from geology with the migration process and way of life for Yemeni refugees on Jeju Island - which has emerged as a pressing issue in South Korea - she addresses the journey of migration in a multi-layered approach. In so doing, the artist raises new questions that cut across the areas of history and the present.

김아영 작가는 전지구적으로 일어나는 여러 층위의 이주(移住)를 몽골의 유사신화와 접목시키고, 특히 제주도 예멘 난민의 이주와 중첩시켜 사변적 픽션의 형태로 완성한 신작 ≪다공성 계곡2: 트릭스터 플롯을 선보인다.


≪올해의 작가상은 한국 현대미술의 가능성과 창의적 역량을 보여주는 작가들을 선정하고 후원하기 위해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미술시상제도이자 전시이다. 2012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현대미술의 새로운 흐름과 담론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의 비전을 제시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