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KASH: WOMEN'S SHARIA COURT

SARKASH: WOMEN'S SHARIA COURT

Documentary I India, France, South Korea I Feature I 2024


Director I Sophie Schrago

Producer I Pauline Tran van Lieu, Heejung Oh


In a tiny lane of Mumbai’s slums, sounds of spirited arguments spill out from a modest storefront. Inside, a young man and woman sit on the floor, and a group of barefoot women preside over the scene from atop a wobbly desk. A divorce negotiation is underway. Overseeing the paperwork of a couple’s separation is 63 year-old Khatoon. Few years prior, she opened the first Women’s Sharia Court in India. Fed-up with the traditional all-male Muslim councils whose interpretations of Islamic law have discriminated against women, she decided to train herself as an Islamic judge to give women a space for seeking justice. Every day, she welcomes couples in crisis. She listens as they narrate their conflicts before offering advice. Glowering under their veils, the women plaintiffs are indignant and brave. In the form of a courtroom drama, this filmic chronicle showcases the strength with which Khatoon handles, with poise and breathtaking calm, these intense demonstrations of emotions.


2022 Eurodoc

2022 Supported by Arte Cofinova & SCAM

2022 EIDF K-DOCS Pitch - Awesome Prize

2021 DOK Leipzig Co-Pro Market

SARKASH: 그녀의 발 아래

다큐멘터리 I 인도, 프랑스, 한국 I 장편 I 2024


감독 I 소피 슈라고

프로듀서 I 파울린 트란 반 리우, 오희정, 강사라


뭄바이 빈민가의 작은 골목에서 논쟁 소리가 새어나온다. 덜컹거리는 책상에서 맨발의 여성들이 젊은 남녀를 바라보고 있다. 한창 이혼 협상이 진행 중이다. 서류를 검토하는 사람은 63세 카툰이다. 그녀는 인도 최초 여성 샤리아 법원을 열었다. 여성을 차별하는 이슬람 율법 해석에 넌더리가 난 그녀는 정의를 추구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직접 이슬람 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카툰은 매일 위기에 처한 부부들을 맞는다. 베일을 덮은 여성 원고들은 망설이다 용기를 내 자신을 위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카툰이 이런 강렬한 감정들을 침착하면서도 강단 있게 다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법정 드라마 형태의 이 영화는 개개인을 넘어서 그녀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유발하는 시스템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우리는 조용한 혁명을 보게될 것이다.


2022 Eurodoc

2022 Supported by Arte Cofinova & SCAM

2022 EIDF K-DOCS Pitch - Awesome Prize

2021 DOK Leipzig Co-Pro Market


DEVI

DEVI

Documentary I Nepal, UK, South Korea I Feature I 2023


Director I Subina Shrestha

Producer I Rosie Garthwaite, Heejung Oh


In 1997, seventeen-year-old Devi, was arrested, accused of being a rebel, tortured, and raped in custody. A civil war had just begun. Rebel leaders revealed her as a rape ‘victim’. Tagged with this shameful taboo, Devi battled depression, social ostracism, joined the rebel frontlines, and rose through the ranks, even serving as a member of the parliament when the war ended. Shot as an immersive verité, the film travels with Devi, as she consolidates the voices of survivors. As Devi confronts her former lawyer and her counselor, the film dives into deeply intimate and vulnerable moments. Through her diary, supported by archives and sweeping images, Devi reconstructs history erased to rewrite her new destiny.


2022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AND Fund

2022 EIDF K-DOCS Pitch - Industry Choice Award

2022 DMZ Docs Industry - Best Award

2021 The Whickers - Finalist

2021 Cannes Docs-in Progress

2021 DOK Leipzig Co-Pro Market

데비

다큐멘터리 I 네팔, 영국, 한국 I 장편 I 2023


감독 I 수비나 슈레스타

프로듀서 I 로지 가트윗, 오희정


1997년, 네팔의 내전이 막 시작됐을 때 열일곱 데비는 반란군으로 체포되어 고문과 강간을 당했다. 반군 지도자들은 그녀를 강간 ‘피해자’라고 폭로했다. 수치스러운 꼬리표가 달린 데비는 우울증과 사회적 배척과 싸우고 반군 전선에 합류했으며 심지어 전쟁이 끝났을 때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생존자들과 단합하는 데비의 여정을 따라간다. 데비가 전 변호사, 상담사와 대면하면서 영화는 가장 사적이면서 취약한 순간까지 파고든다. 그녀의 일기와 더불어 아카이브와 여러 이미지들을 통해 데비는 지워진 역사를 재구성하여 운명을 다시 한 번 개척하고자 한다.


2022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AND Fund

2022 EIDF K-DOCS Pitch - Industry Choice Award

2022 DMZ Docs Industry - Best Award

2021 The Whickers - Finalist

2021 Cannes Docs-in Progress

2021 DOK Leipzig Co-Pro Market



HANA KOREA

HANA KOREA

Hybrid I South Korea, Denmark I Feature I 2023


Director I Frederik Sølberg

Producer I Heejung Oh, Sara Stockmann


HANA KOREA is a hybrid feature about running the highest risk and making the biggest sacrifice in the pursuit of happiness. It is intimate portrait of Hyesun - a young North Korean refugee in South Korea - and her transformation from being caught in the past to becoming a free individual in a hyper modern capitalist society. 


HANA KOREA is a subtle and thought-provoking reconstruction of Hyesun's life as a North Korean in South Korea. It closely follows Hyesun's development and her battle with feelings of doubt, guilt, exclusion, and loneliness. Will Hyesun ever be able to let go of the past? Will she become a South Korean? Was it worth it?


2022 Berlin Talents Project Market

2020 CPH:DOX Forum - Best Pitch (Eurimage Co-Production Award)

2020 Supported by DMZ Docs Production Fund

하나코리아

하이브리드 I 한국, 덴마크 I 장편 I 2023


감독 I 프레드릭 솔베르

프로듀서 I 오희정, 사라 스톡만

 

<하나 코리아>는 ‘자유’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큰 위험을 감수하고 엄청난 희생을 치러낸 탈북자 효진에 대한 이야기이다. 북한 독재 정권의 감시와 억압 속에 살아온 효진은 이제 대한민국이라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스스로 자유를 찾아가는 한 개인으로서의 삶에 적응해야 한다. 영화는 효진의 목소리를 따라 인천공항에 도착하자 마자 강도 높은 국정원의 조사 과정을 거친 후, 하나원에서 한국 사회에 대한 교육을 받는, 자신의 새로운 국가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해 나가는 과정을 픽션 스타일로 보여준다. 높은 자살률, 고도의 경쟁을 감내해야 하는 스트레스 사회이지만, 한편으로 전통과 지위를 중시하는 보수적이며 빈부격차가 극심한 이 모순 가득한 도시에서 효진은 자신의 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 같은 언어를 쓰는 것 같지만, 전혀 다른 사회적 개념과 체제 속에서 살아온 탈북민들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일까? 그리고 자유주의 국가에서 살아간다는 우리는 실제로 자유로운가?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잖아요”라고 웃어보이는 효진에게 우리는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을까? 이 영화는 효진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당연시 여기며 살아가고 있는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의 역설을 들여다본다.


2022 Berlin Talents Project Market

2020 CPH:DOX Forum - Best Pitch (Eurimage Co-Production Award)

2020 Supported by DMZ Docs Production Fund


HIJO MAYOR

HIJO MAYOR

Fiction I Argentina, France, South Korea I Feature I 2024


Director I Cecilia Kang

Producer I Juan Pablo Miller, Sarah Kang

 

An emotional cartography based on a family’s migration from post- war South Korea to Argentina. There are three stories in HIJO MAYOR, which are inhabited by different characters, but they share the fact that they are part of one same memory. Each of them is like an island, and each island will have its differences in color and luminosity because each story is portrayed in different geographies. A shared memory between a man's dream of leaving his home and the family he left behind in the face of uprooting. 

2022 Supported by World Cinema Fund

2022 CNC Cinéma du Monde

2021 Cannes - La Fabrique Cinema du I'lnstitute Français 


릴라의 여름

픽션 I 아르헨티나, 프랑스, 한국 I 장편 I 2024


감독 I 세실리아 강

프로듀서 I 후안 파블로 밀러, 강사라

 

지구 반대편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한국인 가족 진후/안토니오, 미수, 소영 그리고 막내 딸 릴라는 가족의 서로 다른 기억의 파편을 마주한다. 기억의 저편에서, 우리는 서로를 어떻게 간직할 수 있을까?



2022 Supported by World Cinema Fund

2022 CNC Cinéma du Monde

2021 Cannes - La Fabrique Cinema du I'lnstitute Français


GROUNDING

GROUNDING

Documentary I South Korea I Feature I 2024


Director I Minji Ma

Producer I Heejung Oh


After the wave of #MeToo movement stories from various circles, did sexual violence survivors return to their normal lives? Finding the new ‘normal’ is now in the hands of those individuals. Even though the cases were closed, their memories always take them back to the past. Blighted by violence, their bodies stiffen up even with little touches. From getting out of bed, taking a shower to leaving the house, everyday is a battle with themselves.


While many survivors feel their body still remain in the past, dance therapists, choreographers and feminist activists have gathered and plan a movement workshop for trauma recovery. They feel their fingertips again and they move their toes. They re-experience inhaling and exhaling in a safe place. To survive this moment, they move together, and they prepare themselves for a return to daily lives.


2022 IDFA Academy 

2022 DMZ Docs Industry - Special Jury Award, IDFA Spotlight Award

2020 Supported by DMZ Development Fund

2020 Supported by Korean Film Council

착지연습

다큐멘터리 I 한국 I 장편 I 2024


감독 I 마민지

프로듀서 I 오희정

 

#00계_내_성폭력과 미투의 물결이 지나간 이후,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은 일상으로 돌아갔을까? 일상을 회복하는 것은 오롯이 개인의 몫으로 남았다. 사건은 종결되었지만, 시도 때도 없이 기억은 과거로 돌아가고, 폭력을 간직한 몸은 작은 자극에도 굳어버린다. 매일 침대에서 일어나 씻고 집 밖을 나서는 과정 하나하나가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과거에 머물러있는 몸의 시간을 움직이기 위해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과 무용치료사, 안무가, 여성주의 활동가들이 모였다. 그리고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움직임 워크숍을 기획한다. 잊고 있던 손가락 끝의 감각을 느끼고, 발가락을 꼼지락거린다. 안전한 공간에서 숨을 들이켜고 내뱉는 과정을 다시 경험한다. 지금의 시간을 살아내기 위해, 함께 몸을 움직이며, 일상을 회복하기 위한 연습을 시작한다.


2022 IDFA Academy 

2022 DMZ Docs Industry - Special Jury Award, IDFA Spotlight Award

2020 Supported by DMZ Development Fund

2020 Supported by Korean Film Council


SECTOR QUICKSAND

SECTOR QUICKSAND

Hybrid I Netherlands, South Korea, India I Feature I 2023


Director I Abhay Kumar

Producer I Heejung Oh

 

In a city of straight lines, what happens when a curve is introduced?


Chandigarh stands as an anomaly amongst the chaotic Indian landscape. Designed by Le Corbusier in 1964 as a utopian vision of what modern independent India could be, his obsession with straight lines and ‘form follows function’ is evident in the urban design of the city.


In 2020, the director visits his parents in his hometown of Chandigarh trying to resolve an ongoing disagreement over his life choices. Over this time spent at home where moments of gentle affection seem to be punctuated by a total communication breakdown, the filmmaker starts to suspect that the city might have a more insidious role to play in this unravelling situation. As he spends time within the grid of the house, the larger grid structures around him start becoming apparent. Could it be possible that the design of this city suppresses individuality, which threatens its ideal of order and coherence?


The film plays out in a dystopian setting where the will of an individual is set against the collective will of the city itself - the city as a breathing organism, made of clean lines, geometric angles demanding submission to its will, and the individual trying to come to terms with the cost of going against it.

 


2021 IDFA Forum Producers Connection 

섹터 퀵샌드

하이브리드 I 네덜란드, 한국, 인도 I 장편 I 2023


감독 I 압헤이 쿠마르

프로듀서 I 오희정

 

직선으로만 이뤄진 도시에, 곡선이 등장한다. 이 둘은 공존할 수 있을까? 


찬디가르는 ‘혼돈‘이라는 인도의 대표적인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1964년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이 도시는 현대적이며 독립적인 인도의 유토피아적 비전을 담은 곳이다. 도시 곳곳에 직선에 대한 르 코르뷔지에의 집착과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2020년, 감독은 고향 찬디가르에 방문한다. 이곳에서 부모님과의 깊은 긴장관계를 해결하려 하지만, 서로를 향한 따뜻한 애정과 동시에 소통이 전혀 불가능한 현상을 경험한다. 이 갈등의 원인은 무엇일까. 감독은 도시의 디자인이 거주자의 정신을 지배하는 것이 아닐까 의심하기 시작한다. 
47개의 지구(Sector)를 구성하는 직선 형태의 그리드(Grid)로 구성된 찬디가르, 도시는 ‘질서‘와 ‘일관성’이라는 이상을 요구하고, 그 안에서 거주자의 개별성은 무시된다. 


영화는 마치 디스토피아적 전개 방식을 택한다. 한 개인의 소망이 도시가 가진 집단의 소망과 상충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 깔끔한 선과 기하학적 각으로 구성된 도시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자신이 염원하는 것에 개인이 굴복하길 요구한다. 반면 감독은 이 요구에 역행하는 대가를 인지하고 갈등하기 시작한다.



2021 IDFA Forum Producers Connection



THE ROOM

THE ROOM

Fiction I South Korea, India, Netherlands I Short I 2022


Director I Abhay Kumar

Producer I Heejung Oh, Abhay Kumar

 

Six people are detained and are being interrogated one by one, by a voice off camera. The detainees are all from different ethnic minorities. They are asked about THE ROOM. Along with the interrogation, the dance party at THE ROOM is shown. Switching between THE ROOM and the interrogation, the secret of THE ROOM and the detainees are slowly revealed. 


더 룸

픽션 I 한국, 인도, 네덜란드 I 단편 I 2022


감독 I 압헤이 쿠마르

프로듀서 I 오희정, 압헤이 쿠마르

 

구금된 여섯 명의 사람들이 한 명씩 카메라 밖 목소리에게 취조 당한다. 그들은 모두 다른 배경의 소수 인종이다. 목소리는 '더 룸'에 대해 묻는다. 취조 과정과 '더 룸'에서 춤추는 이들의 모습이 번갈아 보여지며 '더 룸'과 여섯 명의 비밀이 밝혀진다.